AC어댑터 및 사용 부품의 사일런트 체인지 방지는 어떻게 대응하나요?
이른바 사일런트 체인지에 대한 당사의 대책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Unifive에서는 글로벌 조달에 대한 리스크 관리를 철저히 하고 있습니다。
최근 조달의 글로벌화에 따라 전자기기 등의 대기업을 중심으로 '사일런트 체인지(Silent Change)'에 의한 리스크가 가시화되고 있습니다. 최근 문제가 되었던 DC 플러그 부품에 사용되는 수지재가 원래 사용되어야 할 '브롬계'가 아닌 '적린'으로 대체되어 마이그레이션이 발생하고 발열 문제가 일어난 사고가 있으며, 저희 회사는 글로벌 조달에 대한 리스크 관리에 철저를 기하고 있습니다.
- * '사일런트 체인지'란 제조업체가 모르는 사이에 거래처 소재 제조업체 등에 의해 재료의 조성이 변경되는 일을 말합니다.
대책
1、입고 검사에 의한 확인
구매 부품 전부(일부 포장 자재 제외)에 대해 납입 로트마다 ANSI/ASQC Standard Z1.4에 따라 입고 검사와 동시에, 형광 X선 장비로 RoHS 특정 유해물질의 함유율 검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외관 검사/내시경 검사로 식별 가능한 변경, RoHS 규제 6물질 및 Cu, P의 변화에 대해서는 입고 검사에서의 검출이 가능합니다.
2、입고 검사로 검출할 수 없는 문제에 대한 대책
1차 제조업체 이후 2차, 3차 제조업체까지 확인이 가능한 신뢰 관계 구축
'사일런트 체인지'가 이루어지는 장소는 실제 납입되는 곳이 아니라 원자재의 조성 변경이 주를 이루며, 얼굴을 보기 어려운 2차, 3차 제조업체에 대해서 평소부터 확인 가능한 신뢰 관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사례
1. 플라스틱의 난연화 방식과 난연제에 의한 트러블 사례
2014년에 NITE(독립행정법인, 제품평가기술기반기관)이 '플라스틱의 난연화 방식과 난연제에 의한 트러블 사례에 대하여'를 발표하였고, 당사도 같은 시기에 유사한 문제에 주목하여 DC 플러그 부품의 절연 슬리브에 사용 중인 PBT 수지(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난연제 조사를 독자적으로 진행하였습니다. 어떤 고객의 요청에 따라 2차, 3차 제조업체까지 현장을 방문하여 상황 확인을 실시하며 사일런트 체인지의 방지에 힘써왔습니다.
사양서의 기재 세분화
'사일런트 체인지' 방지를 위해 사양서에 규제물질 이외에도 사용 금지 재료를 명확히 기재하고 모호한 기재를 없애 생산 위탁처에 전달하고 있습니다. 또한 사양서에 자세히 기재할 수 없는 부분에 대해서는 별도로 보증서 제출을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2. 적린의 혼입
최근 시장에서 자주 언급되는 플라스틱 수지의 난연제에 적린이 혼입되는 사항에 대해, 재료에 의도적으로 적린을 혼입하지 않았다는 것, 또한 포함되어 있어도 100ppm 이하임을 각 제조업체로부터 '보증서' 형식으로 제출받고 있습니다.
4M 변경 통보 철저
모든 제조업체에 대해 4M 변경에 관한 계약서를 체결하고, 변경이 필요한 경우 사전 통지를 통해 승인을 받도록 하고 있습니다. 현재 당사가 거래하고 있는 모든 제조업체와 4M 변경에 관한 계약서를 체결하였으며, 계약이 불가능한 경우 어떠한 이유라도 거래를 하지 않고 있습니다.
조달의 글로벌화가 진행되는 가운데 당사는 더욱 철저한 리스크 관리, 제조업체와의 서플라이 체인 관리 및 신뢰 관계 구축을 추진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