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전 내량
전원 회로 등이 고장 없이 정상 작동을 계속할 수 있는 정전기에 대한 내성에 관한 것이다.
정전기의 원인으로는, 인체나 의복이 대전되어 기기에 접촉하여 방전되는 경우, 대전된 다른 전기・전자 기기로부터 방전을 받는 경우, 기기 자체가 원인이 되어 대전되는 경우의 세 가지가 있다. 정전 내량을 조사하기 위한 시험으로는 정전 파괴 시험이 있으며, 상기 세 가지 원인을 가정한 각각의 시험 방법이 있다. 인체나 다른 전자・전기 기기 등의 외부로부터 정전기를 받을 경우의 정전 내량의 표현 방법으로는 다음 두 가지가 있으며, 허용 가능한 정전기를 반복적으로 인가하는 펄스파의 첨두치로 표현한다.
(1) 동작 시 정전 내량
전원 회로의 입력이 정격 조건일 때, 케이스의 임의 부분에 정전기를 가했을 때 정상 작동을 계속할 수 있는 상한 값.
(2) 보존 시 정전 내량
전원 회로의 입력이 꺼져 있을 때(동작하지 않을 때), 입출력 단자부를 포함한 케이스 외면의 임의 부분에 정전기를 가했을 때, 고장이나 파괴되지 않는 상한 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