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규격 등의 문제는 어떻게 대응하고 있나요?
AC 어댑터 및 스위칭 전원의 안전 규격에 대한 대응 방법이나, PSE(전기용품 안전법), CB 리포트에 대해 소개하고 있습니다. 경험이 있는 당사 직원이 정성을 다해 안전 규격 관련 철저한 지원 체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런 문제로 고민하고 계시지 않습니까?
- 사용 용도 및 목적에 대응하는 필요 규격을 알 수 없다.
- 각국 수출국에 필요한 규격 등을 알 수 없다.
- 취득 완료한 규격 등의 갱신 등 절차, 방법, 시기를 알 수 없다.
- 새롭게 규격 등을 추가 취득하고 싶다.
- 제품이 적절히 규격 등에 준수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싶다.
Unifive에서는, 수출국 및 사용 용도에 따른 안전 규격 등의 문제 해결을 제공합니다.

- 국내 및 각 해외의 안전 규격 취득.
- 고객의 요구에 맞춘 AC 어댑터 안전 규격의 취득 대행 실시.
- 해외 진출 시 각 수출국별로 필요한 규격의 확인 및 취득 대응에 대한 설명.
안전 규격 신청 차트 플로우

안전 규격 소개에 대하여
PSE란
PSE는 전기용품 안전법을 말합니다. 또한 전기용품 안전법에 따른 적합 규격(기술 기준)은 2종류가 있다는 것을 알고 계셨습니까?
「별표 제8 1, 2(102) 및 별표 제10 제5장」은 직류 전원 장치로서 AC 어댑터 단독 적용 규격입니다. 이에 반해[별표 제12항(J6xxxx)]은 고객이 사용하는 기기의 용도·목적에 따라 필요한 적합 규격 번호(J-6xxxx-x)가 됩니다. 한편, 전기용품 안전법에서는, 사용 용도·목적에 따라서 적절한 대응을 취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CB REPORT란
CBREPORT는 CB 스킴(IEC 전기기기 안전 규격 적합성 시험 제도)으로 지정된 기술 기준을 통과한 시험 적합 REPORT(증명서)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AC 어댑터는「IEC60950(정보통신기기) 또는 IEC60065(AV기기)」의 CB REPORT를 취득하는 경우가 많지만, 최근에는 기기의 용도·목적이 다양화됨에 따라 「IEC61558(일반 가전)」「IEC61347(LED)」「IEC60601(의료기기)」등이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현재는 「IEC60950(정보통신기기) 또는 IEC60065(AV기기)」가 통합되어 「IEC62368-1(정보통신기기, AV기기)」가 되었습니다.IEC62368-1이란?
해외 시장에 진출할 때, 각국의 안전 규격 취득이 필요한 경우, CB 스킴 도입국에서는 CBREPORT를 활용함으로써 IEC 제도(국제기술기준)로 평가된 항목은 기술 시험이 면제되며, 진출국가의 기술 기준만으로 평가가 간소화될 수 있습니다. 또한 고객이 사용하는 세트 기기에 안전 평가에 필요한 안전 평가 규정이 필요한 경우, 함께 제공되는 AC 어댑터는 전원 관련 평가를 이미 받고 있기 때문에 기술 시험이 면제됩니다.
안전 규격 이외에 필요한 사항
안전 규격 외에도 적용이 필요한 안전 규격·규제 관련 사항이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일부 사례만 소개하지만, 최근에는 「에너지 규제」(전력 효율 규정)에 관련된 적용이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해외 시장에 제품 진출을 고려하신다면 「안전 규격만 취득하면 괜찮아!」 같은 안일한 생각을 하고 계시진 않습니까?
사실은, 해외에서는 새로운 에너지 절약 규제를 법적으로 도입하고 있는 국가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AC 어댑터나 기타 지정된 기기를 규제 대상으로 삼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북미에서는 「UL 마크가 있으면 괜찮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습니다.
미국에서는[DOE]라고 불리는 규제, 캐나다에서는[NRCAN]규제도 있으며, 안전 규격과는 별도로 적용이 필요한 규제가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