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 "PSE" 제2회 "전기용품에 대하여"
AC어댑터나 스위칭 전원에서의 "PSE"란 무엇인가? 다시 한 번 알기 쉽게 설명하는 시리즈의 두 번째입니다.
전기용품안전법, PSE란? 다시 설명드립니다
PSE가 적용되는 '전기제품에 대해'
지난번에 'PSE란 무엇인가?'에 대해 설명드렸습니다.
요약하면, 'PSE'는 '전기용품안전법'에 따른 제품 안전 기준으로, '전기용품으로 인한 위험 및 장애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제조사업자 또는 수입사업자에게 부과된 의무입니다.
지난 뉴스레터에 대해서는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십시오.
시리즈 'PSE' 제1회 'PSE란 무엇인가?' | [Unifive]AC 어댑터 & 스위칭 전원 제조사 (unifive.com)
이번에는, 그 PSE가 적용되는 '전기용품'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전기용품안전법이 정하는 '전기용품'에는, 자사에서 취급하는 AC 어댑터=직류 전원 장치 등의 '특정 전기용품'과, 텔레비전이나 에어컨 등의 '특정 전기용품 외의 전기용품'이 있으며, 각각 116종, 341종으로 총 457종이 지정되어 있습니다.
특정 전기용품이란, 그 구조 또는 사용 방법 등의 사용 상황으로 인해 위험이 생길 우려가 큰 것으로서, ① 장시간 무감시 상태에서 사용되는 것, ② 사회적 약자가 사용하는 것, ③ 인체에 직접 접촉하여 사용하는 것 등의 제품이 지정되어 있습니다.
한편, PC 본체나 프린터 등은 전기용품으로는 취급되지 않으므로, 전기용품안전법의 규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전기용품 개념 경제산업성이 발행한 '전기용품안전법 법령업무실시 안내서'에서 전재
전기용품안전법상의 ‘전기용품명’과 일반적으로 불리는 ‘제품명’이 반드시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아래 표에서는 AC 어댑터를 예로 들어 비교했습니다.
| 일반 명칭 예 | AC 어댑터 충전기 배터리 충전기 등 | 플러그 콘센트 변환 어댑터 구경 변환 어댑터 |
|---|---|---|
| 전기용품명 | 직류 전원 장치 | 어댑터 |
| 외관 |
| ![]() |
특정 전기용품과 특정 전기용품 외의 전기용품의 차이점에 대해 아래 표에 정리했습니다.
'적합성 검사'와 '증명서 유효기간 확인, 동등증명서 사본 유효기간 확인' 항목을 제외하고는 둘 다 공통적으로 적용되어 제품의 안전성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집니다.
| 전기용품안전법 등의 절차 (수입사업자의 경우) | 특정 전기용품 | 특정 전기용품 외의 전기용품 |
|---|---|---|
| 전기용품명·형식의 분류사항 확인 | 필요 | 필요 |
| 사업 신고 | 필요 | 필요 |
| 기술 기준 적합 의무 | 필요 | 필요 |
| 적합성 검사 | 필요 | 〈 적용 대상 외 〉 |
| 증명서 유효기간 확인 동등증명서 사본 유효기간 확인 | 필요 | 〈 적용 대상 외 〉 |
| 자주 검사 | 필요 | 필요 |
| 표시 | 필요 | 필요 |
| 판매 제한 | 필요 | 필요 |


'특정 전기용품'과 '특정 전기용품 외의 전기용품'의 차이나, 기술 기준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은 분은 아래 링크에서 경제산업성이 공개한 '전기용품안전법 법령업무실시 안내서'를 참고해 주십시오.
https://www.meti.go.jp/policy/consumer/seian/denan/file/06_guide/denan_guide_ver41.pdf
다음 회에서는, '기술 기준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